산업카운슬링 자료실

  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자료실

작성자    : 김대현 작성일 2019-08-20
제목 메타인지 조회수 4629
첨부파일  
첨부파일  

왜 배워야 하는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또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이 무엇이며,
모르는 것을 어떻게 배울 수 있는지를 인식해서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것을 심리학자들은
메타인지(Metacognition)라고 부른다.
메타인지란 다른 말로 상위인지라고 하는데 '인지에 대한 인지', '지식에 대한 지식'이라는 뜻이다.
메타인지는 학습의 열쇠다. 메타인지를 활용하는 학생은 배움의 문을 열 수 있지만, 메타인지를 활용하지
않으면 아무리 열심히 해도 배움의 문은 열리지 않는다. 이것이 배움의 역설이 나타나는 결정적인 이유다.
메타인지가 작동하고 있는 학생은 학습에 대한 준비가 된 상태이다. 배우는 과정에서도 자신이 무엇을
이해했고 무엇을 이해하지 못했는지 구별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를 분명히 아는 것이
메타인지의 핵심이다.
연구에 따르면, 지능지수가 성적의 25% 정도를 설명해 준다고 한다.
그런데 심리학자들은 메타인지가 성적의 40%나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흥미로운 사실은 지능지수가 노력으로는 계발될 수 없고 타고나는 능력에 달려 있지만,
메타인지는 계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능지수의 높고 낮음이나 나이의 많고 적음과 상관없이 말이다.

 

* KBS 시사기획 [창] - '전교 1등은 알고있는 '공부에 대한 공부'

-방송일시 : 2014년 7월 8일(화) 22:00 ~ 22:5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6&aid=0010046900 


     이름  :   암호 :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