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자료실
작성자 : | 최준곤 | 작성일 | 2019-01-07 |
---|---|---|---|
제목 | 교류분석 관련 | 조회수 | 3138 |
첨부파일 | |||
첨부파일 | |||
1. 배경 1950년대 초에 에릭번 박사에 의해 창안된 하나의 완벽한 성격이론이다. 사회적인 상호교류관계에 의해 인성이 형성되며 나아가 삶의 유형이 결정된다는 점을 강조. 인간의 감정이나 행동 그리고 인성발달을 설명해 주는 틀을 마련. 오늘날- 심리치료 뿐 아니라 의사소통이 중요시 되는 어떤 상황에서나 적용되고 있음. TA는 능동적이고, 역동적이며, 관찰 가능한 세가지 자아상태, 어버이,어른, 그리고 아이가 각 개인내에 존재하면서 작동한다고 주장. 각 개인은 어루만짐에 대한 기본적인 선천적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초기의 신념을 바탕으로 아동기부터 인생 각본을 만들어 나간다.
2. 교류분석이론의 주요개념 1) 자아상태 : 사람은 모두 세 가지 즉, ‘부모의 자아상태’, ‘성인의 자아상태’, ‘아동의 자아상태’를 가지고 있고 관찰이 가능하며 역동적이어서 각 자아상태는 말하는 내용이나 몸짓,태도 등으로 나타남. (1) 부모자아상태(P:parent ego state) 양친이나 양육자 등 외부로부터 획득한 태도나 행동으로 성립됨. 부모의 자아상태는 기능적으로 다시 ‘통제적 부모(CP)’와 ‘양육(보호)적 부모(NP)’로 나뉨. (2) 성인자아상태(A:adult ego state) 논리적, 합리적, 타산적이며 객관적인 사실과 정보에 기초하여 이성적으로 문제 해결함. 즉 부모로부터 ‘배운개념’과 아동의 ‘느낌개념’으로부터 인생에 대한 ‘터득한 능력’ 감정보다는 이성적,합리성,생산성,적응성을 가지며 냉정한 계산에 입각하여 그 기능 발휘 (3) 아동 자아상태(C:child ego state) 어렸을 때 느꼈던 감정이나 겪었던 경험을 똑같이 느끼거나 행동함. 본능적, 직관적, 순응적이어서 자기를 그대로 표현하거나 자기본래의 감정을 억누르며 조심성 있는 언동 보임. 이는 다시 ‘순응하는 아동 자아상태’와 ‘자유로운아동 자아상태’로 나누어짐.
자아상태의 경계가 지나치게 경직되어 자아구조간의 에너지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3)오염(contamination) 자아상태의 경계가 지나치게 이완되어 ekms 자아구조로 침범하는 경우
3. 교류형태분석 교류(transaction): 두사람 사이의 스트로크(일종의 자극)의 교환을 뜻함 교류분석 : 부모,성인,아동자아 상태를 응용하여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분석하는 것. 1) 대인교류의 유형 1) 보완적 교류 송신자의 어떤 특정한 자아상태에서 보내진 메시지가 수신자로부터 기대하였던 반응을 얻을 때 이루어지는 교류. 다시 말해, 수신자가 적절한 자아상태에서 송신자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기대하는 반응을 되돌려 보낼 때 이루어지는 교류. 예> 무서운 영화를 본후, 자녀가 엄마, 오늘밤엔 엄마랑 같이 자고 싶어요. 라고 말했을 때 엄마가 “무서운 영화를 보더니 엄마랑 같이 자고 싶은 모양 이구나. 라고 말했을 경우 2) 교차적 교류 메시지를 보내는 송신자가 수신자로부터 기대했던 반응을 얻지 못할 때 일어나는 교류. 이 경우, 의사소통이 깨지며, 쌍방간에 긴장을 유발시킴. 예>자녀가 엄마, 내 장갑 어이있어요? 라고 말했을때 칠칠맞긴, 언제 제대로 네 물건을 챙길래. 라고 엄마가 말했을때. 3) 이면적 교류 송신자가 보낸 메시지에 다른 의미가 내포되어 있을 때 일어나는 교류. 나타내고자 하는 실제 의미(사회적 메세지)는 이면(심리적메세지)에 숨겨져 있음. 이 경우 수신자는 메시지의 표면적인 의미에 대해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숨겨진 의미에 대해서 반응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비생산적인 의사소통이 됨. 예>사회적 메시지 : 자녀: 엄마, 아빠 오늘 몇시에 들어오세요? 어머니 : 9시전에 들어오실것 같은데-- 심리적 메시지 : 자녀 : 나는 오늘 저녁에 아빠랑 신나게 게임을 하고 싶어요. 어머니 : 엄마도 아빠랑 이야기 나누고 싶단다.
4. 인간의 생존적 욕구와 스트로크 모든 인간의 타고난 기본적인 욕구는 자극을 갈망하는 욕구이다. 자극갈망(stimulus hunger)은 스트로크(stroke)를 통해 채워진다.스트로크 : 사람들간에 인식이 이루어 지게 되는 기본단위로서 긍정적,부정적 스트로크가 있으며 언어,신체적 접촉, 표정,감정, 몸짓등 언어적 또는 비어언적인 방법으로 표현된다. 스트로크의 결핍이 되었을 경우 : 영아- 발달에 손상입고 죽음. 성인- 정서적 혼란 경험, 신체적 쇠퇴신체적 스트로크는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점점 줄어들어 인정받고자 하는 갈망 또는 상징적이고 언어적인 존재인 식인 심리적인 스트로크로 대치된다. 5. 시간의 구조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는 자극에의 욕구(자극갈망)와 이전받고자 하는 욕구 이외에도 상대방과 스트로크를 주고받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자기가 원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환경 또는 생활시간을 계획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는데 이를 TA에서는 시간의 구조화라고 한다. 1) 시간 구조화 방식 6가지 (1)폐쇄 : 타인을 멀리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자신의 생각이나 상상으로 보내는 방식으로, 자기 스스로 스트로크를 주려는 자기애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2)의식 : 전통이나 관습적인 행사에만 의식적으로 차명함으로써 최소한의 스트로크를 유지한다. (3)활동 : 실용적으로 시간을 게획하는 방식으로 자신으 ‘일’에 몰두하면서 스크로크를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런한 활동은 적극적이고 친미한 인간관계를 의미하지 않으므로 자칫 소외감을 경험할 수 있다. (4)잡담 : 무난한 화제로 깊이가 없는 스토르크를 나누는 사교적인 시간활용 방식이다. (5)게임 : 잡담 이상의 인간관계가 필요한 경우, 신뢰와 애정이 있는 진실된 교류를 원하지만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아 일종의 솔직하지 못한 스트로크를 교환하는 방식을 뜻한다. (6) 치교 : 상대방를 신뢰하고 수수한 배려를 하는 진실된 형태의 스트로크를 교환하는 시간 구조화 방식이다. * 스트로크 교환으 양은 (1)에서 (6)으로 갈수록 많아진다. 5. 스트로크의 종류 신체적/언어적 스트로크, 긍정적/부정적 스트로크,조건적/무조건적 스트로크. 신체적/언어적 스트로크 : 안아주거나 두드려주거나 때리는 신체적, 칭찬하거나 모욕을 주는 언어적 긍정적/부정적 스트로크 : 어떤 사람을 기분좋게 만들거나 내가 괜찮아 라고 느끼게 하는 긍정적, 기분을 나쁘게 만들거나 내가 시원치 않다라고 느끼게 하는 부정적 조건적/무조건적 스트로크: 어떤 조건을 만족시킬 때 대가로 얻게 되는 스트로크는 조건적 개인의 성취나 행위에 기초하여 인정해 주는 것이 아니라 그 개인이 존재한다는 자체에 근거하여 인정해 준다면 무조건적 스트로크 * 스크로크 방식은 개인이나 가족에 따라 학습되며 개인의 스트로크 방식은 성격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즉 여러 가지 스트로크가 역동적으로 이루어 지면서 사람은 다른 사람이나 자기자신에 대한 느낌을 갖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삶의 입장이 형성된다.
6. 기본적인 삶의 입장 어릴때 부모와 주고 받은 스트로크를 기초로 형성된 자기나 다른 사람 또는 세상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 (1) 나는 괜찮지 않다 - 너는 괜찮다(I`m not OK - you`re OK)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고 타이에 대한 열등감을 느끼며 자신에 대한 느낌은 다른사람(또는 부모)의 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영아: 자신에 대해서는-부정적입장, 타인에 대해서는-긍정적입장 : 부모의 격려: 극복, 그렇지 못하면 열등감 자신과 다른 사람 모두를 믿지 못하며 인생을 무가치한 것으로 생각한다. 걸음마기, 배변 훈련의 지나친 통제나 지시를 하면 아이는 자신에 대해 수치심과 무능력감을 가지게 되고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가지게 하고 타인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부정적 감정으로 변함 : 주변사람들의 격겨와 관심 필요, 그렇지 못하면 아동은 무가치함,절망,자포자기,반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남 (3) 나는 괜찮다 - 너는 괜찮지 않다(I`m OK-You`re not OK) 다른 사람을 부족하고 가치 없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다. 다른 사람에 대해 불안해 하며 불신하지만 기본태도는 다른 사람 위에 서고자 하는 것이다. 쉽게 화를 내고 다른 사람을 무시한다. 통제능력 가능한 아동 : 부모사랑,애정결핍,심한학대: 자신에 대해 긍정적 자세,타인에 대해서 부정적 자세 (4) 나는 괜찮다 - 너도 괜찮다((I`m OK-You`re OK) 대체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만족하며 모든 느낌을 인식하고 표현하는데 문제가 없다. 이 입장에서는 개인의 성장동기가 높다. 특히 아동에게 성이나아 상태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상에 대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를 가지는데 도움이 된다.
7. 게임과 각본 (1) 게임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에는 감추어진 함정이 있는데 이것은 대개 이면적인 교류에서 나타나며 이러한 이면적인 교류를 게임이라고 한다. (2) 각본(SCRIPT) 한 개인의 여러 가지 욕구 충족을 위한 게임, 살아오는 동안의 상호교류에서 배우게 된 내용, 좋아하는 상호교류 유형, 선택하게 된 삶의 자세등이 총체적으로 나타난 결과로 살아가는 방식이나 삶의 유형을 발달시키게 된다. 8. 부모교육에의 적용 ·부모는 TA 부모교육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변화 시키게 된고 자신과 자녀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부모교육 현장에서 TA를 적용할 때는 부모 자신의 현재 모습을 이루고 있는 가치관,신념감정,욕구 및 생각에 대한 내용을 배우게 된다. ·인간관계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해 주며 자신의 욕구와 다른 사람의 욕구를 인식하는 길을 마련해 주고 있다. 2)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 부모가 자신의 자아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여 성인자아가 아동자아와 부모자아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 독리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자 한다. · 부모가 세가지 유형의 자아 상태를 자율적이고 융통성 있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녀를 비롯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원만히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부모와 유아가 모두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부정적인 생활 자세를 버리고 자기 긍정과 타인 긍정의 생활 자세를 가지게 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생활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 TA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창의적이고 매력적이라는 평가가 있는 반면, 이해하기 힘들고 부자연스럽다는 지적도 있다.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 IN.
|
|
![]() |
이전글 | 교류분석 관련--2 | 2019-01-07 |
![]() |
다음글 | 가족건강법 | 2018-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