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담학 분야에서 대표적인 학술지인「상담학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상담학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9년 12월까지 한국상담학회의 상담학연구지에 게재된 총 711편의 논문에 대해 연구자,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분석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2-3년 사이에 학회지 논문 수는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구자는 국내대학교 소속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성격특성과 적응관련 주제가 가장 많았고, 상담성과, 진로․적성, 검사도구․프로그램개발 주제 순서로 게재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성인, 청소년, 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의 87%가 양적연구였으며, 질적 연구는 10% 수준이었다. 양적 통계분석 방법은 변량분석 및 회귀분석계열이 전체의 70%를 차지하였고 다변인간 인과관계 분석은 2006년 이후 증가추세를 보였다. 2007년 이후 증가추세를 보이는 질적연구 분석은 현상학적 분석이 가장 많았고, 근거이론 분석, 사례 분석 순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담학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연구주제의 다양화, 연구대상의 확대, 통계분석의 다양화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