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자료실
작성자 : | 최덕호 | 작성일 | 2015-05-03 |
---|---|---|---|
제목 | 상담 종결과정에서 주의 할 사항 | 조회수 | 3820 |
첨부파일 | |||
첨부파일 | |||
상담 종결과정에서 주의할 사항
상담에 있어서 종결 시기는 상담의 목표가 도달되는 시점으로 상담자는 종결에 대한 여러가지 징후가 나타나면 종결을 세밀하게 계획 및 수립하여 진행해 나가야 한다. 특히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중요한 사람임을 인식하고 종결을 조심스럽게 다루어야한다.
현재 내담자가 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다면 종결에 관한 이야기를 논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강한 의존적인 성격을 띄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자에게 강한 애착을 느끼므로 상담자가 종결에 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면 분리불안과 함께 상담자에게 거절당하는 느낌을 느낄수 있다. 이러한 의존적인 성격의 소유자는 상담 초기에 파악이 가능하므로 주의해야한다. 종결 시 상담관계에서 상담을 지체시키는 전이 요소가 있다면 반드시 해결해야 내담자와 상담자가 본래의 현실적인 관계의 수준에서 상담을 종결할 수 있다. 또한 상담에서 뚜렷하게 진전이 없는 경우에는 상담을 종결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대안으로 다른 상담자를 소개하거나 다른 상담방법을 논의하는 등의 대책을 세워 본인이 맡은 상담에 책임감을 지녀야한다.
종결을 한다 하여 다 성공적인 것은 아닌데 바로 조기 종결의 문제가 남아있다. 조기 종결이란 처음에 세운 상담 목표와 기간등 보다 이른 종결을 원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다음 약속 시간에 오지 않아 종결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보통은 내담자가 상담에 만족스러워하지 못하여 발생하고는 하는데 조기 종결의 결심을 이야기 하는 경우도 있다. 만족스러워하지 못하는 이유는 내담자에 관한 파악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거나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 효율적이지 못했기 때문일 것 이다.
이러한 상담사의 상담실패와 조기종결은 상담사들이 받아들여야할 과제이다. 내담자가 상담을 받으러 오지 않았다 하여 실망하지 않고 상담 결정 여부는 내담자에게 달려 있으며 내담자가 다시 상담을 받으러 올 때 죄책감 없이 돌아올 수 있는 조취를 취하는 것도 상담사가 가져야할 태도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상담사가 상담을 매우 유능하게 잘 하였을 경우 내담자 본인 스스로에게 눈에 띌만한 변화를 보였다고 판단하여 아직 중기단계이나 조기 종결을 이야기 하는 경우도 있다. 상담자는 조기 종결 징후를 잘 알아차려야 한다 내담자가 종결에 관한 질문을 할 때에는 그 문제를 충분히 탐색해야하고 종결하고 싶어서 향상을 보고하는 경우에는 빨리 알아차려야 한다. 내담자가 종결을 원할 때는 종결하고 싶은 동기를 파악해보아야 하며 만약 상담 성과가 미진하고 원인 파악이 안 될때는 과감하게 종결을 고려하여야 한다.
출처 -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304~310 / Naver 지식in
|
|
|
![]() |
이전글 | 정신분석입문 | 2015-05-05 |
![]() |
다음글 | 상담 중기과정에서 주의할 사항 | 201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