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소개
인사말
사명이념
헌장
CI소개
법인현황
조직도
연혁
부속기관
찾아오는길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인터뷰
산카양성(Training)사업
상담지원(Counseling)사업
Membership system
교육연수(Education)사업
Communication Program
산업카운슬링이란
산업카운슬러 양성
산업카운슬러 활동분야
산업카운슬링-기업유익성
산업카운슬링
산카아카데미
산업카운슬링사업단
사내고충처리상담
커리어·전직지원
인간관계지도
IC 공공 News
자격교육과정
산업카운슬러1급
산업카운슬러2급
산업카운슬러2급
산업카운슬러1급
기업연수과정
강좌일정 및 소개
월간일정
문의신청서
Counselling 프로그램[A]
멘탈헬스 전문 프로그램[B]
커리어컨설턴트 양성(C)
사내고충처리상담사
인간관계지도자
인사.노무고충상담 Skill-Up
Career컨설턴트[재취업전문가]양성과정
123
전문프로그램
사내고충처리상담사
커리어컨설턴트
인간관계지도자
통합심리분석사
상담·심리검사
상담(프로그램) 신청문의
산업카운슬링센터
산업카운슬러 활동
산업카운슬링[EAP]도입
EAP상담서비스 시스템
MSC멘탈헬스진단[소개]
MSC 멘탈헬스자기진단
오프라인 대면상담
온라인 전화상담
온라인 게시판상담
상담자료 제출방
전국산업카운슬링상담안내
개인상담신청
자격시험등록
공지사항
민간자격등록기관
자격종목.등급.검정절차
자격심사원서
자격등록에 대하여
자격등록신청
자격등록현황
등록회원보수교육일정
산업카운슬러 헌장
산업카운슬러윤리강령
회원커뮤니티
공지알림
뉴스레터
교육소식
자유게시판
FAQ
회원제도
해외연수(일본편)
IC 공공 News
교육일정
보수교육
회원갤러리
산업카운슬링대회
산업카운슬러아카데미 소개
2025 상반기 산업카운슬러 1,2급 과정
산카아카데미 양성.활동목적
산업카운슬러아카데미 교육특징
산카아카데미 수업교재
수업과제제출방(수강회원)
산업카운슬러 활동,역할에 대하여
산업카운슬링 용어해설
전문위원·상담사·강사 지원신청
HOME
산업카운슬러
글쓴이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시 필요합니다)
이메일
(예 : mail@mail.co.kr)
교육제목
최덕호님의 글입니다. ><P><STRONG>현실치료와 행동주의 치료와의 비교<BR></STRONG><BR>Johnson(1989)이 설명하는 것처럼 행동을 강조하는 점에서 행동주의 치료와 현실치료는 유사한 양상을 지니고 있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그 입장은 기본적으로 판이하게 다르다.<BR>Glasser는 인간의 행동을 동물의 행동과 같은 차원에서 모두 설명하려고 드는 자극-반응(stimulus-response) 이론을 냉정하게 비판한다. 외부에서 오는 자극이 우리를 동기화시킨다고 보기 때문에 강화의 중요성을 내세우는 Skinner(1978)의 입장은 우리가 생래적으로 강력한 내부적인 힘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고 보는 Glasser의 입장과 본질적으로 상충된다. Skinner가 처벌에 대해서 지닌 입장의 핵심은 처벌에는 전혀 보상이 없다는 점이다. <BR><BR>따라서 처벌을 하면 그 처벌의 원인이 된 행동을 중지하거나 감소시키게 된다는 것이 그의 기본입장이다. 그러나 Glasser(1981)는 처벌을 반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인간의 기본 욕구를 채워주지 않기 때문이라 보며 처벌은 인간의 행동체계의 힘을 감소시키게 된다고 본다. <BR><BR>그는 명백히 Skinner의 심리학적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는 Skinner가 내적 동기를 지나치게 간과하는 것을 비판하고 그런 접근은 인간에게 해로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왜냐하면 Glasser는 철두철미하게 인간의 행위를 좌우하는 기본적인 동기는 내재화 되어있다고 믿고 있으며 행위에 대한 책임은 환경에 있지 않고 개인의 내부에 자리잡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BR><BR>Skinner의 이론은 긍정적 강화, 부정적 강화, 처벌, 소거의 네 가지 개념에 그 근거를 두고 있는데 반해서 Glasser는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는 하지만 그 동기는 항상 내부에서부터 우러나야 하기 때문에 S-R 접근은 본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보고 있다.<BR><BR><B>(3)</B> Adler의 개인심리학과의 비교<BR><BR>Glasser는 현실치료의 뿌리를 어느 정도 A. Adler의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에 두고 있다고 Whitehouse(1984)는 주장한다. Glasser 자신이 Donna Evans(1982)와 행한 인터뷰에서 현실치료의 많은 부분이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실제로 Adler는 개개인의 치료자들에게 적용방법을 찾도록 맡겨두고 이론을 정립하는데 힘을 기울인데 반해서 Glasser는 오랫동안 독자적이고 구체적인 이론이 거의 없이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론을 개발해왔다.<BR><BR>Glasser가 Powers의 통제이론을 도입해서 현실치료의 효율성을 뒷받침해 주고 있지만 현실치료와 Adler의 개인심리학은 삶에 대한 개인의 책임감의 중요성을 매우 중요하게 간주하는 점에서 유사한 측면을 보이고 있다.개인심리학에서는 인간이 사회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사회에 관여하고 있어야만 기본적 욕구가 충족된다는 관점이 그 기저를 이루고 있다. 곧 사회에 유용한 것은 다 善(good)이라고 본다.<BR><BR>이 관점에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인생의 과제는 사랑과 일, 그리고 우정이라는 주장이 생성되었다. 개인심리학에서는 인간을 유목적적인 존재로 파악한다. 이런 점들은 사랑과 소속의 욕구,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방향과 전망을 중시하는 현실치료의 입장과 유사하다. 두 기법사이의 가장 큰 유사점은 아마도 치료자를 어떤 측면에서 교육자(educator)로 보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두 사람 다 교육을 통한 문제의 예방자체를 중시하며 건전한 성장과 발전의 중요성을 높이 사고 있다.<BR><BR>Glasser가 청중 앞에서 역할연습을 통해 치료과정을 보여주는 것처럼 Adler도 사람들 앞에서 치료과정을 보여주었다. 두 기법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데 둘다 과거를 탓하며 문제에 대한 자신의 책임성에서 도피하려는 태도를 허용하지 않지만 개인심리학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과거에 대해 통찰을 지니게 되는 것을 아주 중시한다. 이 점은 과거에 대한 중요성을 아주 최소화하려는 현실치료의 입장과 상충된다. 그러나 두 기법은 어떤 측면에서 서로 상호보완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BR><BR><B>(4)</B> Ellis의 합리적 정서행동요법과의 비교<BR><BR>Ellis에 의해 발전된 합리적 정서행동 요법(Rational Emotive Therapy)과 현실치료는 둘 다 현재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고 내담자에게 어떤 의미에서 재교육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상담 장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Sewall, 1982).<BR><BR>두 기법은 그 방법론과 철학적 근거에서 유사한 점과 상충되는 점을 지니고 있다. 합리적 정서행동 요법과 현실치료는 둘 다 인본주의적이고, 인지적이고, 행동을 중시하는 치료기법이지만 Ellis(1973)가 인간이 사랑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다른 인간을 필요로 한다고 보지는 않는데 반하여 Glasser(1976)는 사랑하고 사랑받고자 하는 욕구를 생래적인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Glasser의 힘의 욕구를 Ellis는 받아들이지 않으며 자기평가를 중시하는 현실치료과는 달리 Ellis는 자기 평가를 피하라고 가르치고 있다.<BR><BR>두 기법이 가장 유사한 점은 책임성을 강조하는 점이다. 곧 내담자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는 점이다. 그러나 가장 중점적인 차이는 관여(involvement)에 대한 견해이다. Glasser는 친구가 되어 관여를 맺는 것이 내담자의 사랑과 소속의 욕구를 채워 준다는 점에서 관계를 개선시키는데 필수불가결의 요소로 보고 있지만, Ellis(1973)는 철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것이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라고 보지 않는다. <BR><BR>Ellis는 조건 없는 긍정적인 태도를 치료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기는 하지만 치료장면에서 보다 더 권위적이고, 지시적이고, 직면적이다. 현실치료는 여기에 비하면 따뜻하고 평등한 관계를 유지하는 친구되기의 중요성을 우선적이며 가장 중요한 단계로 보고 있다.<BR><BR>위와 같이 몇 가지 다른 기법들과 비교해 볼 때 친구되기의 강조와 사랑과 소속의 욕구의 충족에 대한 강조, 여기-지금(here and now)을 중시하는 태도, 상대방을 존중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힘의 욕구를 채울 수 있다고 보는 견해, 자율성을 존중하는 자유의 욕구와 즐거움에 대한 욕구 등에 대한 현실치료의 입장은 소속과 상호작용, 의사결정 존중, 자발성과 즐거움의 주요개념은 대부분 개인 생활과 대인관계, 조직 생활에서의 신축성있는 대응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점들이라고 볼 수 있다.<BR><BR>현실치료적 상담을 다른 심리학적 접근들, 즉 Adler의 개인심리학적 접근, 행동주의, 합리적정서행동 치료이론과 비교하여 보면 <표 Ⅱ-2>와 같다.<BR><BR><B><표 Ⅱ-2> 다른 상담접근과 현실치료간의 비교</B><BR> </P> ><TABLE width=550 height=793 class=__se_tbl bgColor=#333333 border=0 cellSpacing=1 cellPadding=5> ><TBODY> ><TR style="HEIGHT: 18px" bgColor=#cccccc> ><TD width="14%" vAlign=top style="HEIGHT: 18px"> ><P align=center><B>접 근</B> ><P align=center><B>구 분 </B></P></TD> ><TD width="21%" vAlign=middle style="HEIGHT: 18px"> ><P align=center><B>현실치료</B> </P></TD> ><TD width="21%" vAlign=middle style="HEIGHT: 18px"> ><P align=center><B>개인심리학적 접근 </B></P></TD> ><TD width="21%" vAlign=middle style="HEIGHT: 18px"> ><P align=center><B>행동주의</B> </P></TD> ><TD width="21%" vAlign=middle style="HEIGHT: 18px"> ><P align=center><B>합리적정서행동치료</B> </P></TD> ><TR style="HEIGHT: 18px" bgColor=#f3f3f3> ><TD width="14%" vAlign=middle style="HEIGHT: 18px" bgColor=#cccccc> ><P align=center><B>인 간 관</B>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인간은 궁극적으로 자기 결정을 하고 자기 삶에 책임이 있다. ><P>인간은 자유롭고 자신의 목표를 스스로 선택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닌다. <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인간은 가공적 목적을 향해 움직이는 창조적 존재, 책임지는 존재, 선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존재, 완성을 향해 끊임없이 형성되어 가는(becoming) 전체적인 개인으로 보았다.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초기에는 주로 환경에 반응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인간을 본 반면 비교적 최근에는 인간의 능동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BR><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인간을 합리적이고 올바른 사고를 할 수도 있고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할 수도 있다. 인간은 자아실현 경향성과 자기파괴적인 경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P></TD> ><TR style="HEIGHT: 18px" bgColor=#f3f3f3> ><TD width="14%" style="HEIGHT: 18px" bgColor=#cccccc> ><P align=center><B>주요개념</B>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선택이론 ><P>기본적 욕구 ><P>전행동 ><P>질적세계 ><P>바램탐색 <BR><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열등감과 보상 ><P>우월성의 추구 ><P>생활양식 ><P>사회적 관심 ><P>창조적 자아 ><P>출생순위 ><P>가공적 목적론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학습이론 ><P>조건화 ><P>강화와 소거 ><P>상호제지 ><P>자극-반응 심리학 <BR><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ABCDE이론 ><P>비합리적 접근 ><P>논박 ><P>인지적 과제 <BR><BR><BR> </P></TD> ><TR style="HEIGHT: 18px" bgColor=#f3f3f3> ><TD width="14%" vAlign=middle style="HEIGHT: 18px" bgColor=#cccccc> ><P align=center><B>상담목표</B>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내담자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도록 보다 효과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개인적 자율성과 성공적 정체감을 갖도록 돕는다. <BR><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상담과정을 사회화의 한 과정으로 보고 있으며 상담의 목표는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달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BR><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내담자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도 학습된 행동으로 보기 때문에 잘못 학습된 행동을 소거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새로이 학습하도록 내담자를 돕는 과정이다. <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인간의 신념이 정서와 행동과 사고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내담자의 정서적 혼란과 관계되는 비합리적인 행동체계를 논박하여 이를 최소화 하거나 보다 합리적 신념체계로 바꾸도록 한다. </P></TD> ><TR style="HEIGHT: 18px" bgColor=#f3f3f3> ><TD width="14%" vAlign=middle style="HEIGHT: 18px" bgColor=#cccccc> ><P align=center><B>상담과정</B>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현실치료는 상담과정 가꾸기와 내담자를 행동이나 방향 변화로 유도하는 두 과정으로 되어 있다. 이 두 과정을 통해 내담자가 원하는 삶을 사는데 스스로 평가하고 그들의 삶을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방향선택을 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상담관계의 설정 ><P>⼘내담자의 역동성 ><P>분석과 이해 ><P>⼘통찰을 위한 해석 ><P>⼘사회적 관심의 발달 을 돕는 재교육 <BR><BR><BR><BR><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상담관계의 형성 ><P>⼘문제행동의 규명 ><P>⼘현재 상태 파악 ><P>⼘상담목표의 설정 ><P>⼘상담 기술의 적용 ><P>⼘상담 결과의 평가 ><P>⼘상담의 종결 <BR><BR><BR><BR> </P></TD> ><TD width="21%" style="HEIGHT: 18px"> ><P>상담의 과정에서는 `여기 지금`과 어릴 때 획득한 신념과 정서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내담자의 현재 능력을 강조한다.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구체적 논박을 통해 합리적 신념체계로 대치하도록 한다. <BR> </P></TD></TR> ><CAPTION align=bottom> </CAPTION></TABLE><BR>(Glasser, 1965; Johnson, 1989; Whitehouse, 1984; Sewall, 1982; 이형득, 1993)<BR> ><DIV class=autosourcing-stub-extra> ><P style="FONT-SIZE: 12px; FONT-FAMILY: Dotum; FONT-WEIGHT: normal; PADDING-BOTTOM: 0px; FONT-STYLE: normal; PADDING-TOP: 0px; PADDING-LEFT: 0px; MARGIN: 11px 0px 7px; PADDING-RIGHT: 0px"><STRONG style="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7px">[출처]</STRONG> <A href="http://blog.naver.com/simple624/50001236243" target=_blank>현실치료의 理論과 實際 適用</A></P></DIV> ><P>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