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이승관 작성일 2020-08-19
제목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48) : Choice Theory 조회수 2082
첨부파일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48) : 선택이론(Chouce Theory)

1.의의

현실치료에서는 인간이 내적인 욕구가 실현될 수 있도록 자신의 환경을 선택할 수 있다는 선택 이론(Choice Theory)에 근거한다.

2. 요건

1)인간의 기본적 욕구(basic need) : 개인의 행동을 유발

소속의 욕구(beloinging need)
힘에 대한 욕구(power need)
자유에 대한 욕구(freedom need)
즐기고 싶은 욕구(fun need)
생존에 대한 욕구(survival need)

2)지각 체계(perceptional system)

욕구나 원함의 충족은 결국 현실 세계를 통해서 가능하다. 현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눈, 코 등의 감각 체계를 통해 현실 세계와 접촉한다. 감각 체계에서의 비교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것과 관계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우리의 지각 체계 중 하나인 총괄 지식 여과기(total knowledge filter)를 통과한다. 우리가 감지하는 것이 이 여과기를 지날 때 현실 세계는 감각에서 지각으로 바뀐다.

3)행동 체계(behavioral system)

자신이 원하는 것과 더욱 유사한 것을 얻기 위해 현실 세계에 대한 행동을 한다. 좌절 신호 발생 시 즉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조직화된 행동이 없으면 새로운 행동을 창조하는 조직화나 조직화된 행동을 다시 조직하는 재조직화를 한다.

4)전행동(Total Behavior)

우리들의 욕구는 자동차의 엔진에 해당되고 원함은 전행동이라는 차가 되어 가고 싶은 방향으로 가게 되어 있다. 전행동은 활동하기, 생각하기(자동차의 앞바퀴에 해당)와 느끼기, 생리기능(뒷비퀴에 해당)으로 나타난다.

이 요소들이 모여 하나의 행동(Total Behavior)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든 행동에는 이 네 요소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 적극적인 활동에 많이 관여할수록 좋은 감정과 유쾌한 생각, 그리고 더 좋은 생리적인 편안함이 수반된다.

3. 효과

통제 이론(Control Theory)이라고 불렸던 현실치료의 선택이론은 그 자체만으로도 많이 연구되었고 이를 상담에 적용한 연구도 많이 있다. 현실요법에서는 타인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보다는 변화를 원하는 자신의 활동하기에서 출발하는 것이 훨씬 현실적이라고 보며, 개인의 선택임을 상기시키고, 느낌 표현이 명사이건 형용사이건 모두 동사 어휘로 표현한다.

이 승 관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수석전문위원(Ph., D., 경영지도사, 산업카운슬러 1급 과정)
성남하이테크밸리 융합혁신기술지원센터 준비위원회 경영혁신분과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