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위승아 | 작성일 | 2017-08-06 |
---|---|---|---|
제목 | 스티그마 효과 | 조회수 | 19501 |
첨부파일 | |||
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 ]부정적으로 낙인찍히면 실제로 그 대상이 점점 더 나쁜 행태를 보이고, 또한 대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심리학에서 인간의 일탈 행동 혹은 부적응 행동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된다. 스티그마 효과를 다른 말로는‘스티그마’는 빨갛게 달군 인두를 가축의 몸에 찍어 소유권을 표시하는 낙인을 가리킨다. 그래서 스티그마 효과를 ‘낙인 효과’라도 한다. 하워드 S. 베커(Howard S. Becker)가 낙인 이론(Labelling theory)을 제창베커는 1960년대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도시문제학 교수였다. 처음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으면 결국 스스로 범죄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재범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그의 이론이다. 스티그마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사례로는· 구직 활동에서 · 선별적 무상급식 대상 아동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보편적 복지의 확대를 주장하면서 선별적 무상급식을 실시할 경우 저소득 계층에 대한 낙인 효과가 생길 위험이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 사회에서 낙인이 찍힐 수 있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대말은?반대말은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타인의 긍정적인 기대나 믿음이 있을 때, 그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로젠탈 효과, 자기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티그마 효과 [Stigma effect]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 심리편, (주) 북이십일 21세기북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