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임채승 | 작성일 | 2012-11-19 |
---|---|---|---|
제목 | 아버지의 위상 | 조회수 | 2709 |
첨부파일 | |||
아버지의 위상(位相) 요즈음 아버지들의 자리가 좁아져 가고 있습니다. 가족 내에서조차 소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으나 시대 흐름에 부응하지 못한 채 관계능력을 잃어버린 원인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한 가장으로서 어느 한 부분의 무능력이나 결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격 면으로, 경제면으로, 성격 면으로, 학력 면으로 등등 일상적 생활에서 기대치를 채워주지 못하는데서 오는 소외현상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소외되고 부정적으로 비쳐지는 아버지들의 대표적인 행동모습은 다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는 ‘왕 대접 받고 싶은 아버지’로 아내를 충성스런 하인 정도로, 자녀들을 시녀들로 의식하여 모든 주도권을 쥐고 행사하는 절대 권력의 소유자의 모습입니다. 둘째는 ‘비판적인 아버지’로 자신의 좌절감과 분노 때문에 늘 혹독한 꾸지람과 사소한 트집으로 부정적인 비판을 가함으로써 가족들을 두려움에 떨게 합니다. 셋째는 ‘수동적인 아버지’로 모든 생활이나 의욕을 다 포기하여 모든 일에서 손을 뗄 정도로 무능하고 무위도식(無爲徒食)하는 아버지입니다. 넷째는 ‘부재중인 아버지’로 능력도 있고, 영향력도 있지만 가족의 영역을 벗어나 일만 알지 가족과는 대화와 소통이 전혀 없는 아버지입니다. 이상과 같은 행동요인에 의해 우리 아버지들은 관계능력을 잃게 되고 그래서 소외되어 가정에서 조차 소위 ‘왕따’를 당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결국은 아버지의 역할이 위 네 가지의 행동유형에서 벗어나야 할 것입니다. 목에 힘이나 주는 보수적 권력보다는 민주적이고 솔선하는 가장이 되어야 합니다. 비판과 부정적 편견에서 벗어나 칭찬하고 장점을 발견해 주는 긍정적 마인드를 가진 아버지가 되어야합니다. 항상 의욕과 열정을 갖고 세상의 어려움을 극기하며 성취의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소통과 화합으로 민주적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가정을 이끌어가는 아버지의 모습이 될 때 참다운 아버지로써 떳떳함과 존경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진정한 아버지로서 아버지다운 행동과 의식이 겸비될 때 무언의 따름이 있고 존경이 있지 않겠습니까? 구두수선공의 아버지를 대통령이 된 링컨이 평생 자랑스럽게 생각한 것처럼 말입니다. 링컨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취임연설을 할 때의 일화입니다. 한 의원이 그의 아버지를 구두 수선공인 점을 지적하며 그를 조롱하자 그는 잠시 자신의 아버지를 떠올리며 눈물을 흘리며 말을 합니다. “잊고 있던 아버님을 새삼 떠올리게 해 주신 상원의원님 고맙습니다. 우리 아버님은 완벽한 구두수선공이셨습니다. 여기 계신 여러분들 중 몇 분은 우리 아버님이 만드신 신발을 편안히 신고 계실 것입니다. 저는 아버님의 열정적인 모습과 기술을 배우려고 노력했으나 따라 갈 수 없었습니다. 정말 훌륭한 구두 예술가이셨습니다. 나는 자랑스러운 아버님의 아들이고 지금도 아버님을 존경합니다.” 세간 사람들 눈에는 보잘 것 없는 직업을 가진 그의 아버지였지만, 링컨은 그 누구보다 아버지를 존경하였던 것입니다. 이처럼 아버지에게 중요한 것은 사회적으로 성공한 직업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자녀들에게 존경받는 아버지가 되는 것이 아닐까요? 여러분들은 지금 자녀들에게 어떤 아버지로 기억되고 있으신가요? 여러분들의 자녀가 세상에 처음으로 태어났을 때 어떤 아버지가 되고 싶었는지를 한번 떠올려보시고, 지금 나의 모습은 어떠한지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
![]() |
이전글 |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 | 2012-11-19 |
![]() |
다음글 | 홍콩여행.. | 201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