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박은용 | 작성일 | 2024-02-02 |
---|---|---|---|
제목 | 청소년심리상담에활용가능한선문답의이론적고찰-3 | 조회수 | 628 |
첨부파일 | |||
3. 청소년기의 특징과 심리상담 3.1. 청소년 발달 단계와 특징 Elkison은 청소년들에게 삶의 중요한 과제는 자아정체감을 찾는 것이라고 하였다(Miller, 1983). 자아정체감이란 내가 누구이며 어떤 목적을 가지고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가치관이자 목적의식 이다.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옮겨가는 과도기로 신체 심리 사회적으로 발달을 급격하 게 경험하는 시기이다. 흔히 제2의 탄생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아동기와 성인기의 중간적 위치에 서 기존 사회구조에 편입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갈등과 방황으로 정체감의 혼란을 겪는 시기이다. 또한 청소년들이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인데 그 중에서도 가장 현저한 특 징은 신체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갑작스러운 신체변화 때문에 청소년들은 심리적, 사회적 부적응 ( 大正藏 48 , 379c) 宗密 禪源諸詮集都序 卷2 ( 大正藏 48 , 此一心卽是佛 佛與衆生更無別異 但是衆著相外求 求之轉失 使佛覓佛 將心捉心 窮劫盡形終不能得 不知息念 忘慮佛自現前 此心卽是佛 佛卽是衆生.” , 3) “宿世曾聞今得解悟 四大非我 五蘊皆空 信自眞如 及三寶德.” , 裴休 黃檗山斷際禪師傳心法要 409c10-12)• 문화와 융합 제44권 4호(통권 92집)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81). 청소년기에는 충동적 에너지가 증가하기도 하지만 새로운 사회적 갈등과 요구가 대두되면서 혼란과 당황을 경험할 수 있다. 초기 청소년기에는 집단의 소속감을 통해 자신의 정체감을 파악 하려는 성격이 경향이 강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집단이 아니라 개인적인 정체감을 확립하기 위 해 노력한다. 인간의 개인적 발달과정에서 성장 과정의 사회문화적 경험은 인격 형성에 매우 중 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청소년기에도 인성은 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무엇보다도 청소년 기의 자아정체성 형성이 중요한데,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청소년기는 감정이 격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중요한 과제는 자신의 감정에 관대해지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격한 감정을 받아들이고 이러한 감정 상태에 대해 과 민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Erikson(1968)은 정체감 위기가 전 생애 가운데 어떤 단계 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그리고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청소년기가 시작되면서 대부분의 청소년이 가장 먼저 겪게 되는 정신적 과제로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 존재인가?’ 등과 같은 심리적 자아정체감 혼란이다. 자아정체감 형성은 청소년기에 와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이유는 청소년들의 정체감 위기를 유발하기 때 문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청소년은 다른 어떤 시기보다 자아의 존재성에 대해 더 많은 고 민과 갈등을 경험하기 때문에 청소년 시기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심리상담은 어느 때보다 필요 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전환적 시기이지만 신체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인 면에서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청소년기를 성숙한 아동이나 미숙한 성인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없다(이미리 외 2019: 15-16). 청소년기는 일생 중 가장 과도기적인 발달 특성을 보 이는 시기이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행동 양식이 심리적 장애로 인한 것인지 혹은 발달과정 상에 나타나는 불안정한 특성인지를 구분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따라서 청소년의 심리적 장애를 다 루는 데 있어서는 심리적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경험뿐 아니라,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 에대한충분한고려를바탕으로한주의깊은접근이필요하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4: 437-438). 3.2. 청소년의 심리상담 청소년 심리상담의 목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역량을 키우 고 유능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Teyber, 2000). 청소년 상담 과정에서 변화를 이끌어 가기 위해 협력적인 상담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중요하다. 상담자의 과제는 청소년들이 변 화의 주체로서 자신에게 초점을 맞추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최가희 2018: 250). 청소년 심리상담이란 청소년들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청소년심리상담에활용가능한선문답의이론적고찰 상담 활동을 말한다. 청소년 심리상담에서는 문제 발생 후 그 문제를 치료하는 것보다는 그 발 생을 예견하여 적절하게 사전 조치를 취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을 고 려하여 청소년 상담에서는 청소년 발달 단계에 맞게 사전 예방 접근을 중요시 여긴다. 오늘날 청소년은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많은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으며 물질 만능사상, 이기주의 팽배와 오직 자신의 출세만을 지향하는 대학입시 위주의 갈등 속에서 사회 부적응, 정 신장애, 가출, 자살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청소년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여러 가지 문제들이 직 면하게 됨으로써 한층 더 고조된 심리적 불안과 긴장, 그리고 크나큰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다. 특히 청소년이 바라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실패할 때 욕구불만이나 욕구좌절 또는 갈등상태 에 빠져 불안이나 심리적인 긴장 상태를 경험하고 고민에 직면하며 때로는 비관, 나아가서는 자 살에 이르게 되는 경우를 요즘 흔히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정의와 복지의 실현이라는 차원 에서청소년들에대한특별한관심과이해가필요하다.이러한심적긴장이나불안,부적응,비 관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으로 생산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당면한 문제를 극복하도록 상 담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특징적인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소년 기의 문제를 일으키는 많은 요인들에 따라 청소년에게 합당한 상담 활동이 필요하다(장성화 외 2012: 179-180).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은 내담자의 성장에 관심을 두며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변화를 주요 인으로 강조하는데 그는 인간관계에 대한 상담자의 인품과 상담자로서의 존재 방식을 중요시 한 다고 할 수 있다(김경희 이현심 2020: 729). 상담자가 청소년들과 신뢰 관계를 형성한다면 청 소년들은 부정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어서 심리 문제는 저절로 치유될 수 있다(이장호 2005). 청소년 심리상담은 청소년기 위험 행동뿐 아니라 위험 행동의 부정적 결과로 발생하는 부적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인 개입 행위이다. 청소년 심리상담은 부적응 문제의 해결에 국한 되지 않고 문제의 예방과 청소년의 발달적 잠재력을 개발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청소년 상담의 대상은 청소년 개인과 환경을 모두 포함한다. 청소년기 위험 행동이나 부적응 문 제의 원인은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부적응 문제 원인을 찾고, 해결을 위한 목표를 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개입방법을 제시해야 한다(경은정 2022: 106). |
![]() |
이전글 | 청소년심리상담에활용가능한선문답의이론적고찰-4 | 2024-02-02 |
![]() |
다음글 | 청소년심리상담에활용가능한선문답의이론적고찰-2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