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김정빈 작성일 2023-02-11
제목 로켓 사이언스보다 people management가 더 어렵다 조회수 960
첨부파일  


 

누구나 한마디씩 할수 있는 분야가 진짜 어려운 영역이다--부제. 로켓 사이언스보다 people management가 더 어렵다

1. 두가지의 영역이 있다. 한가지는 실력이 명확히 드러나는 영역이고 또 하나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영역이다. 스포츠는 실력차가 쉽게 드러난다. 프로와 아마의 차이도 분명하다. 협소한 전문영역 또한 그러하다. 뛰어난 sw개발자와 평범한 인력의 차이는 분명하다.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성과 차이는 크다. 대개 이런 영역의 특성은 숙련에 이르는 길에 변수들이 많지 않기에 운의 영향도 그리 크지 않다. 성과를 창출하는 방법론도 어느 정도 명확하고 재현가능하다.

2. 그러나 실력차이를 명확히 하기 어려운 일들이 있다. 경영이나 리더십 같은 영역이다. 주식투자 같은 영역도 그러한듯 하다. 대개 이런 영역의 특성은 성공에 이르는 길에 변수들이 많고 환경과 운의 영향도 크다. 방법론이 재현가능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3. 이러한 영역일수록 쉽게본다. 이에 누구든지 한마디씩 한다.

4. 전략, 마케팅, 인사/리더십, 재무회계 등 전통 경영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제일 어려울까? 나는 인사/리더십 영역이라고 본다. 다른 영역은 아마추어가 함부러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인사/리더십 영역은 누구라도 한마디씩 할수있다. 그래서 오히려 공부하지 않고 상식과 통념으로 접근한다. 이에 people부서, culture부서 등에 계신 분들이 힘들다. 사내에서도 평가절하 당할때가 많다. 창업한 똑똑한 CEO들이 제일 만만하게 보고 시간 투입도 별로 하지 않지만 이후 가장 골치를 썩이는 영역도 바로 이 영역이다.

5. 누구나 한마디씩 할수 있는 영역에 진보를 보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대부분의 사람들이 상식으로 할수 있다고 생각하고
2) 수식과 같은 명확한 인과관계가 잘 보이지 않고
3) 노력에 비해 진보가 선형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사람들은 배우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물론, 이런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명확한 인과관계를 찾기 어렵고 변수들이 많아 분명 운의 영향도 크다. 이에 전문가들도 실패하기도 한다.

6. 그러면 이러한 영역은 art인가? 꼭 그렇지는 않다. 여기도 과학적 연구결과들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단순한 수식처럼 되지는 않아도 꾸준히 학습하고 경험하면 확률을 높일수 있다. 변수가 많고 운이 개입되는 영역은 누구나 진입하기 쉽고 누구나 쉽게 할수 있을듯 보이지만 여기에도 분명 고수들이 있다. 고수들이라고 반드시 승리하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 승리의 확률이 더 높다. 그 확률이 쌓이면 큰 결과를 가져온다.

7. 그러므로 쉽게 보이는 영역이 더 어려움을 기억해야 한다. 로켓 사이언스, 우주과학보다 주식투자나 리더십, people management, 경영이 더 어렵다. 이런 영역은 상식과 통념으로 접근하지말고 진보가 금방 보이지 않아도 꾸준히 시간을 투자하라. 전문가들을 존중하고 그들의 말에 귀 기울여라. 그러면 미세한 차이처럼 보이지만 확률을 높여 분명 큰 성과들로 보답할 것이다.

 


김정빈 KT 엔터테인먼트 대표의 글입니다.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