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이승관 | 작성일 | 2022-02-17 |
---|---|---|---|
제목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621) : Understanding Smart Sensor | 조회수 | 970 |
첨부파일 | |||
이승관 경영지도사의 스마트경영 기술컨설팅 (962) : SS Smart Sensor(SS) 1. 의의 센서라는 용어는 1970년대 중반부터 사용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검출기(Detectir)로서 존재하며 각종 전기회로나 제어 장치에 사용되어 왔다. 1980년대 이후 급속히 발전한 Micro Machining 기술은 종래의 크고 무거운 조립식 센서를 반도체 IC와 같이 실리콘 기판에서 집적하여 스마트 기능을 가능하게 하였다. Smart Sensor는 MCU가 센서에 내장되고 SoC 기술이 접목, MCU의 제어, 판단, 저장, 통신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센서의 성능 향상과 다중센서, 네트워크 센서, IoT센서로 진화한 것이다. 2. 요건 1) 센서(Sensor)의 구성 변환부와 신호처리부, Interfacing으로 구분되며, Sensor의 운영방식은 센서의 외부환경을 검지하는 변환부와 신호처리부 그리고 자동차, 모바일 등 시스템 요구에 맞게 Interfacing 하여 구동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Input(Physical, Chemical, Biological etc)->[Sensong Element+SSP IC]>Output(Potential, Current, etc) 2) Nano/MEMS Sensors, AFE IC, MCU, Embedded S/W, Wireless Communication[Platform for IoT(Libelium)] => Highly Integrated Smart Sensor(센싱 소자, 센서SoC, Intelligent Algorithm) 3. 효과 스마트 센서는 스마트한 제조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제조업에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는 똑똑한 센서로 소형, 경량, 고성능, 다기능, 고편의성, 고부가가치의 센서기능을 통하여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자동 감지 시스템 어플리케이션(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TPMS), 모바일/Game Device의 Motion Sensor, 항법 센서와 Healthcare의 Smart Healthcare Sensor를 적용하여 생체정보인식, 환자 상태 실시간 센싱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승관 경영학박사 경영지도사(Certified Management Consultant) 산업카운슬러(Industrial Counselor) National Director of IG-WGCA Unlimited Energy WHQ University of Hawaii ICBP(Inter-Cultural Business Program) Completed |
![]() |
이전글 | 자존감이란 | 2022-02-17 |
![]() |
다음글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620) : Counselling for SFMBO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