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이승관 | 작성일 | 2021-07-08 |
---|---|---|---|
제목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324)(The Role & Mission of Industrial Counselor) | 조회수 | 1104 |
첨부파일 |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The Role & Mission of Industrial Counselor) 1. 산업카운슬링의 역할 산업카운슬링의 기능은 두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기능인 정보제공 기능은 직원에게 회사의 규칙이나 업무수행에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 상담자가 조언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두 번째 기능은 적응촉진(또는 능력개발)기능으로써 직원의 가족문제, 인간관계, 성격 등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 상담과 조언을 해주는 기능이다. 산업카운슬러의 기능은 기업체의 고충처리 제도와 일면 유사한 점이 있다. 그러나 고충처리 위원회의 경우, 기본적으로 간부급 직원들로 구성되어 노무관리와 노사관리의 측면에서 주로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상담자의 기능은 거의 유명무실한 상태이다. 산업카운슬링 및 산업카운슬러의 활동 지역으로는 다양하다. 산업현장과 근로자가 멘털헬스(정신건강)을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느곳에서나 산업카운슬링 및 산업카운슬러의 활동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실제 근로자가 집적화되어 산업카운슬링이 필요로 하는 생태계는 전국의 산업단지가 중심이 될 수 있다. 산업단지관리공단을 중심으로 종사하는 근로자를 위한 다양한 정책프로그램을 기획 지원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 산업카운슬링의 체계적 도입과 운용은 아직 활성화 되지 않고 있다. 최근 산업카운슬링의 필요성에 대해서 중소벤처기업의 대표 및 인사담당 임원들은 근로자의 고충처리 제도와 관련된 노무관리와 노사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점차 인식을 확대하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한 근로자의 사기 앙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도입으로 생산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필요성에 대해 체계적인 프로그램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2. 근로자의 조직행동론 측면에서의 위치 산업현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내담자 입장에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요인 중 개인수준의 행동으로는 태도, 동기부여, 스트레스 등의 요인이 작용한다. 태도라 하면 특정 행동에 대해 좋고 싫음을 의미하며, 동기부여는 조직의 목표와 자신의 목표를 일치시켜 달성하는 원동력이며, 스트레스는 직무를 수행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멘털헬스 문제라 할 수 있다. 집단수준의 행동원인으로는 근로자가 소속되는 팀 등 조직내에서 집단 갈등인 개인갈등, 집단갈등, 의사소통, 의사결정, 리더십 등의 문제에서 발생하게 된다. 조직수준의 행동으로는 직무설계에서 과도기적 직무설계인 직무순환 및 직무확대 등에서 근로자가 근로 수행 중에 직간접적으로 산업카운슬링의 필요성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3. 산업카운슬러의 역할 산 업카운슬링은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입사부터 교육, 직무순환, 확대, 전환배치 등 일련의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인적자원의 제반 문제에 대해 현실적으로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상담기능을 통해 내담자와 공감능력을 기반으로 멘털헬스(정신건강)을 회복시켜 노동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승관 경영지도사(CMC, Certified Management Consultant) 경영학박사(Ph., D) 산업카운슬러 커리어컨설턴트(Industrial Counselor & Career Consultant) National Director of IG-WGCA Unlimited Energy WHQ |
![]() |
이전글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325) : C&D Strategy | 2021-07-09 |
![]() |
다음글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323) : Inventory Control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