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이승관 작성일 2021-03-15
제목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277) : 성공적인 Career Development 전략 조회수 1554
첨부파일  


 

성공적인 경력개발관리(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전략

1. 의의

경력은 한 개인이 일생에 거쳐 일과 관련하여 얻게 된 경험을 의미한다. 경력개발관리는 구성원의 경력경로를 개인과 조직이 함께 계획하고 관리하여 조직과 개인의 목표를 달성해 가는 체계적인 과정을 의미하며 노사 상생프로그램의 인적자원 관리 제도로 운용이 필요하다.

기업측면에서는 경력개발관리를 통하여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고, 조직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조직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개인차원에서는 종업원의 성장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안정감과 비전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업원이 전문적 능력을 획득하여 노동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오늘날 AI시대에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바, 근로자의 멘털헬스와 직결되는 경력 닻의 전략적인 대응을 위해 산업카운슬링을 통한  경력 닻 관리의 계획, 실행, 평가가 필요하다.

2. '경력 닻' 유형

가. 경력 닻의 의미

F. Schein은 개인이 직업과 관련하여 추구하는 경력욕구를 경력 닻(Career Anchor)개념으로 설명하였다. 경력개발관리에서 개인의 경력욕구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은 성공적인 경력개발관리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것이므로,경력 닻은 의미가 있다.

나. 경력 닻의 유형

F. Schein의 경력 닻 유형은 높은 수준의 책임과 도적적이고 다양한 리더십이 발휘 될 수 있는 작업 및 조직에 공헌도가 큰 업무를 선호하는 직원의 경력 닻을 의미하는 관리지향(Managerial Competence), 특정 종류의 직업에 강한 재능과 동기유인을 가지고 있고, 직무의 내용에 관심이 많은 직원의 경력 닻을 의미하는 전문가 지향(Technical-functional competent), 직업안정, 고용의 안정에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직원의 경력 및 유형인 안전 지향(Security), 신규조직, 신제품, 신규서비스 등을 창출하는 창의성을 중시하는 직원의 경력 닻을 의미하는 사업가적 창의성 지향(Entrepreneurial Creativity), 자신이 지닌 특정의 중요한 가치를 기준으로 직무의 가치를 평가) 대체로 보상을 중요시 하지 않고, 자율적인 행동에 대한 기회를 중요시하는 자원봉사(Sense of Service) 경력 닻 등이 있다.

3. 경력개발 관리 기법

경력개발 관리 기법은 교육훈련과 직무순환, 승진 등이 있다. 그 중 직무순환(Job Rotation)은 개인의 기능다양성을 도모하여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개인의 주관적인 경력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직무확대를 위한 수평적 및 수직적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직무설게의 한 모델이다. 사전에 계획된 대로 여러 직무를 여러 작업자가 순환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직무설계 방법이다. 즉, 개인이 특정 직무에 체류하는 효과적인 기간과 각 직무의 권한, 난이도, 스트레스 정도가 사전에 파악되어 있어야 한다.

4. 효과

기업입장에서는 경력개발 관리를 통하여 인력배치의 융통성을 높이고,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며, 기업에 대한 최적화된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운용으로 기업경영의 가치가 제고되며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직무수행의 단조로움을 해소하며, 관련 분야에 개인의 경력욕구과 조직의 욕구를 선순환 구조로 계획하며, 조직에서 계획된 인적자원관리 경력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교육훈련, 직무순환, 승진 등의 제도와 연계하여 실행하여, 조직과 개인이 건강한 인적자원관리 플랫품을 운용하여 노사문제를 선제적으로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근로조건의 행정중심에서 관리에서 탈피하여 멘털헬스에 대한 산업카운슬링을 기반으로 전략적이고 AI 시대가 요구되는 근로자의 멘털 헬스를 사전에 예지적으로 대응하여 예방과 예측중심의 플랫폼인 개인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의 인적자원관리 플랫품의 구축과 운영으로 조직의 유효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이승관  산업 & 기업경영 컨설턴트 (경영지도사, 경영학박사, 산업카운슬리 1급, 커리어컨설턴트) (주)첨단 수석전문위원(산업카운슬러부문/스마트팩토리 부문), (주)바이오세라 경영 전문위원, 김영귀 환원수(주) 경영 전문위원, 유한대학교 융합산업협회의 가족기업 전문위원, 고용노동부 비영리법인 사단법인 한국산업카운슬러협회 전문위원, 강남노무법인 파트너/전문위원, 근로자산업카운슬링 연구소장,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 전문위원, 한국생산성학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