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이승관 | 작성일 | 2021-02-17 |
---|---|---|---|
제목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267) : PI CONSULTING | 조회수 | 1572 |
첨부파일 | |||
스마트산단 추진전략 : PI Consulting 1. 의의 PI는 제조혁신(Process Innovation)을 말하며 개선체계 정비, 현상파악, 개선대책 및 실시, 점검 및 보완, 결과 및 사후관리 5단계로 실시한다. PI활동은 사전에 필요성 및 중요성 교육실시 분위기 조성 후 임직원 전원참여하에 PQCDB(Productivity, Quality, Cost, Delivery, Basic)개선 과제별로 실시한다. 2. 내용 가. 절차 PI 절차는 사전준비, 방향과 과제설정( TO BE 설계, 이행계획(Implementation Plan)수립의 PI 설계(Plan)단계와 착수보고회, PI/변화관리 추진활동, 중간경과/최종보고회의 PI 이행단계로 실시한다. 나. 단계별 방법 : 사방T스경 (1) 사전준비 사전준비 단계에는 사업 환경 파악 및 혁신방향 정의, 업무 영역별 이슈 점검, 전략적 과제 발굴 및 우선순위 정의 등이 있다, (2) 방향 및 과제 선정 현재 업무 프로세스 및 이슈 분석, 핵심과제 도출 및 우선순위 부여, 세부 실행과제 도출, 핵심과제별 KPI 과제 도출 등이 있다. (3) TO BE설계 및 이행계획 TO BE 프로세스 설계 및 시스템 모델 정립, 과제별 AS IS/TO BE 비교 및 검증, 실행계획 수립, 이행 조직 구성, 예산/비용/효과 분석 등이 있다. (4) 스마트화/변화관리 활동 Kick off, 개선과제 해결활동, TO BE 프로세스 스마트화 활동, 변화관리 활동, 시스템 사용자교육 등이 있다. (5) 경과 보고 및 사후 관리 중간/결과 보고회, 성과/결과 피드백, 지속적 스마트화 체계 수립, 중장기 고도화계획과 사후 관리를 한다. 3. 효과 PI 활동을 통하여 현장개선 및 생산성혁신과 문제점 개선 등 제조혁신으로 기업들이 생산성을 높이고 원가절감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 다만 PI추진 시에는 중소기업의 WANTS BASED된 PI 추진 개발과 적용, 현장 맞춤형 변화관리 활동 및 교육이 필요하다. 이승관 산업 기업경영전문가 경영지도사(CMC, Certified Management Consultant) 경영학박사(Ph., D.) 산업카운슬러 1급 경영진단사 기술평가사 기술경영사 창업지도사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커리어컨설턴트 (주)첨단 수석전문위원(스마트팩토리) 산업단지신문 전문위원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 전문위원 (주)바이오세라 경영 전문위원 한국산업카운슬러협회 홍보위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평가위원 |
![]() |
이전글 | 고통 뒤에는 금광이 숨겨져 있다 | 2021-02-17 |
![]() |
다음글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266) : 지원 이후 연계방안 및 사후 관리방안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