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이승관 작성일 2021-02-08
제목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261) : 성과관리의 핵심 [역량평가] 조회수 1406
첨부파일  


 

스마트산단성과관리의 핵심 [역량평가]

1. 의의

급변하는 경영환경 하에서 직원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 요건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바 이에 대한 효과적인 성과평가가 확산될 수 있는 조직문화의 활성화를 추진할 성과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역량의 구성 및 관리가 필요하다. 글로벌 기업들은 대부분 업적평가와 역량평가를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는 바 업적평가는 성과급결정에 역량평가는 기본급과 승진 및 후계자 양성에 주로 사용한다.

2. 역량의 구성

1) 기초(기본) 역량

기초역량은 전직원을 공통으로 대상하며 직원으로서 공통적이고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등력과 태도를 말한다. 역량항목에는 변화주도, 고객지양, 팀웍, 언어(영어 등) 역량 등으로 구성된다.

2) 리더십 역량

회사 가치(value)와 연계한 리더십 역량은 부서장 공통을 대상으로 부서장으로서 조직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역량을 말하며 인재육성, 전략적 안목, 업무추진력을 말한다.

3) 전문 역량

전문역량은 부서별 전문성을 말하며 부서별 업무수행을 위해 전문적으로 필요한 역량으로 업무분장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역량항목에는 전문지식, IT지식, 자기계발, 분석적인 기술 등이 있다. 관리, 영업, 기술, 연구 별 3~4개의 역량을 선택한다.

3. 효과

역량평가는 능력주의를 강화하는 측면에서 능력판단 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능력에 기초한 개인별 차별화를 강화하고 교육, 경력관리 등 인사관리 전반을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하여 직원 개개인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요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요구능력의 변화를 시의적절 하게 직무역량으로 반영하여 평가 및 능력개발에 연계함으로써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을 제고하게 된다.

이승관  산업 기업경영전문가(경영학박사, 공인경영지도사, 산업카운슬러 1급), (주)바이오세라 경영 자문위원, (주)첨단 산업단지신문 스마트팩토리 카운슬러 부문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