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이승관 | 작성일 | 2021-02-06 |
---|---|---|---|
제목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260) : 목표설정과 성과달성을 위한 과정관리 | 조회수 | 1502 |
첨부파일 | |||
목표설정과 성과달성을 위한 과정관리 1. 의의 과정관리는 상사와 부하가 목표설정 면담을 통해 목표를 설정한 후 상사는 부하가 목표를 계획에 따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는지 수시로 면담을 통해 중간점검하고 지원해주는 관리를 말한다. 2. 요건 가. 면담실시 연간 목표추진 실적관리를 위해 사업부, 팀(파트)단위로 면담주간을 설정하여 업적면담을 실시한다. 사업부장은 소속 팀(파트)장 면담을 실시하며, 팀장은 팀원의 개별 목표항목 수행에 대해 과정면담을 실시한다. 나. 목표 진행사항 점검 목표진행, 진행정도, 업무수행수준(우수한 점, 미진한 점)과 진행 방법상의 문제를 포함한 문제점의 내용 등에 대해 목표 진행사항을 점검한다. 다. 지원 필요사항 목표수행에 따른 상사로서 지원사항 점검으로 사전 계획된 지원사항 또는 계획 없이 발생한 지원 필요사항과 업무관련 타부서 및 담당자 사이의 관계 원활성 여부, 필요한 교육 수강여부 및 대외 관련사항 점검과 지원 등에 대해 점검한다. 라. 목표대비 실적 차이분석 계획과 실적차이에 대한 원인과 발생원인에 대해 부하가 통제할 수 있는 사항이었는지 여부에 대해 점검한다. 바. 대안 수립 목표와 차이발생에 대햐 대안 및 향후 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한다. 3. 효과 수립된 목표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간에 목표 달성을 위한 부서원간의 정보공유가 필수적이며 전사, 부서 목표달성과 연계된 조직의 목표와 진척 상황과 개인 업수행 계획의 정기점검과 수정보완 등 목표와 일치시키는 과정관리와 관련해서 오차를 줄이기 위한 Cascading이 요구된다. 또한 과정관리는 결과만을 염두에 두지 않고 과정에 주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승관 공인경영지도사(Certified Management Consultant)/경영학박사(Ph., D.)/산업카운슬러 1급(Industrial Counselor) & Biohealthcare Consultant/산업단지신문 전문위원, Biocera Love Alkaline 경영 자문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