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이승관 작성일 2020-12-16
제목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196) : 산업현장의 이해(기업가치 평가 PDR) 조회수 1691
첨부파일  


 

기업가치평가의 다양화

1.기업가치의 정의

=채권자의 가치(부채) 
+주주가치(자본)

2.평가법:자수상법

1)자산가치:청산가치-계속가치

2)수익가치:DE배 

1)DCF:미래기업 현금흐름 창출
2)EVA
3)배당할인모형

3)상대가치:PEBS

1)PER=P/EPS(당기순이익-주식수)
2)EV/EBITA(시가총액-EBIT+영업이익)
3)P/BPS(자본총계/주식수)
4)PPS(매출액/주식수)

4)법률적 평가방법

2. PBR(Price Book value Ratio)

1) 의의

주가와 주당 자기자본 장부가치 비율, PBR승수법은 PBR을 이용하여 기업이나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2) 요건

PBR=[ROE-g]×[1+g]/Re-g

3) 예시

.상장을 앞둔 C사는 작년 매출액과 순이익을 각각 230억원과 9억원을 달성함
-작년말 자산과 자기자본은 장부상으로 각각 110억원과 58억원으로 보고됨.
-장기적으로 5% 성장률 기록을 전망하며 1.25 베타값읗 갖는 것으로 추정됨
-현재 국채수익률은 7%이고, 올해 코스피수익률은 10.5%로 예상됨

PBR법에 의한 C사의 자기자본 가치는?

-ROE=당기순이익/ 자기자본=9/58=15.52%
-Re=7%+1.25[10.5-7%]=11.37%
-PBR*[ROEg]×[1+g]/Re-g=[0.1552-0.0][1+0.05]/0.11385-0.05=1.7325

-C사의 자기자본 시가총액=PBR×자기자본의 장부가치
=1.7325×58=100.5억원

3. PDR

1) 정의

주가꿈비율(PDR, Price to Dream Ratio)으로 기업의 순이익이나 자산가치가 아닌 성장성(꿈)을 평가하는 것이다. 

2) 요건

주가꿈비율(PDR)=해당 기업이 포함된 산업의 시장 규모(TAM)×시장점유율 [기업가치(시가총액)]

PDR은 기업가치(시가총액)를 기업의 꿈으로 나눈 값이다. 기업의 꿈은 해당 산업의 10년 후 전체 시장 규모에다 기업의 예상 시장 점유율을 곱한 개념이다. 특히 BBIG(Battery, Bio, Internet, Game) 기업의 가치를 설명하는 데 효과적이다.

4. 기업 가치평가 시사점

주가수익율(PER)는 기업 이익에 초점을 두어 전통 제조업에 적합하며,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자산가치에 초점을 두어 제조업에 적합, 반면 주가꿈비율(PDR)은 미래 매출에 초점을 두어 신성장산업에 적합하다.

이승관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수석전문위원 경영학박사 경영지도사 산업카운슬러 1급 성남하이테크밸리 융합혁신기술지원센터 경영혁신분과위원장